배터리
유니테크는 배터리 모듈관련 접착제의 Total Solution
Provider로서 배터리 기술발전의 한계를 타파합니다
배터리 사업개요
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적 진보가 이루어집니다.
배터리 기술의 향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, 유니테크의 솔루션은 고객의 도전과 함께 합니다.
새로운 솔루션이 더 나은 시장성을 확보해 확대 보급될 수 있도록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능동적 설계를 지향합니다.
화학제품 전문가가 아닌 고객도 더욱 알기 쉽고 설계에 도움이 되는 제품을 공급해 더 나은 가치를 제공합니다.


배터리 솔루션
전동화 차량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
-
- 이종간 구조용 접착제
- 소재 선택의 제한을 줄이고, 안정성을 높임
-
- 면압패드
- 일정한 표면 압력을 제공하여 배터리 내구성을 극대화
-
- 방열 접착제 및 갭 필러
- 배터리 및 시스템 발열을 효과적으로 해소
-
- Potting 재료
- 습기, 온도, 진동 등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모듈 및 시스템을 보호
-
- 방열 패드
- 자동도포 시스템 없이도 적용 가능
-
- 실란트
- 먼지, 수분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배터리 모듈 전용
배터리 기술 및 적용분야
-
ESS의 열 관리, 배터리 모듈의 접착 및 열 관리 시스템
-
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시스템 모듈 및 팩 전반
Product

-
방열 접착제 (Thermal Adhesive)
UniCore® 방열 접착제는 다양한 특수화학 솔루션을 이용하여, 배터리 시스템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탁월한 접착 성능 및 내구성을 구현합니다.
- 제품 특징
- 최상의 접착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기재의 기계적·화학적 부착 성능 극대화
- 효율적인 열전도 성능 구현을 위한 다양한 필러 구성 능력
- 극한의 환경조건과 긴 사용 연한에도 불구하고 최초의 성능을 유지하는 뛰어난 내구성
- 정보 기술
-
설명접착제의 성능과 방열 성능을 모두 구현한 제품
-
용도발열 부품 및 기타 부품과의 접착 및 열전도성을 필요로 하는 모든 부위에 적용
-
적용 부위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하단과 냉각 시스템 사이 또는 유사한 전자부품 간
-
주요 물성전단강도, 인장강도, 열전도성, 경도 등
-
특징Polyurethane, Epoxy, Silicone 등 1~2K 액상형으로 수동 또는 자동 로봇 작업 가능. 상온 또는 고온 경화형 제품
-
브랜드UniCore®, UniShield®
-
열 전도성 갭패드 (Thermal Gap Pad)
UniShield® 열전도성 갭패드는 다양한 열전도율과 경도를 갖춘 제품군을 바탕으로 방열 시스템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킴
- 제품 특징
- 열전도 및 충격 완화 등 다양한 배터리 사용 조건에 부합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제품군
- Oil bleeding 방지를 통한 전자 분야 전반에 사용 가능한 품목
-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는 자동화 생산라인
- 정보 기술
-
설명Silicone 레진을 기반으로 제조된 Pad로, 발열부와 냉각부의 열전도를 목적으로 함
-
용도전자기기 발열 부품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시스템과의 물리적 접촉 부위 증대를 목적으로 함
-
적용 부위전기차의 배터리 모듈과 냉각 부품 간
-
주요 물성열전도성, 경도, 비중 등
-
특징Silicone, Pad type, 수작업 또는 부분 자동화
-
브랜드UniShield®
-
열 전도성 갭필러 (Thermal Gap Filler)
UniShield® 갭필러는 자동화 공정에 최적화된 탁월한 작업성 및 내구성을 바탕으로, 고객의 효율과 설계 안정성에 가치를 더합니다.
- 제품 특징
- 필러 구성을 최적화해 성능과 가격 만족도를 동시 충족
- 20년간 쌓아온 배합 엔지니어링 능력이 적용된 안정적인 적용성
- 배터리의 내구 연한을 상회하는 성능의 장기 환경시험 능력을 확보하고 실현함
- 정보 기술
-
설명Silicone/Non-Silicone 레진과 열전도성 필러가 포함된 1~2액형 액상 재료
-
용도전자기기 발열 부품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함
-
적용 부위전기차의 배터리 셀, 모듈과 냉각 부품의 사이 도포
-
주요 물성열전도성, 충진율, 접착강도, 경도 등
-
특징Silicone/Non-Silicone type, 1~2K 액상형으로 제조가 가능하며 상온 또는 고온에서 경화
-
브랜드UniShield®
-
배터리 면압패드 (Battery compression pad)
초저밀도부터 고밀도 면압패드까지, 리튬이온 배터리의 내구성을 보완하는 UniPad®는 각각의 배터리 특성에 부합하는 반발 성능으로 설계 가능함
- 제품 특징
- 넓은 범위의 압축 수준에서 매우 유사한 반발 탄성력을 구현
- 배터리의 충방전에 따른 다양한 노출 환경 사이클에 물질 성능 장기 유지 가능
- UL-HBF 이상의 내화성 기준 충족
- 정보 기술
-
설명Polyurethane/Silicone 등으로 제조되는 Open cell pad 형상의 제품
-
용도배터리 셀의 사용에 따른 수축과 팽창(Swelling)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배터리 셀의 내구성을 향상하는 부품
-
적용 부위전기차용 파우치 타입 배터리 셀 사이에 적용
-
주요 물성Compression Force Deflection, Density, Flammability, Compression set
-
특징Polyurethane base, Pad type
-
브랜드UniPad®
-
구조용 접착제 (Battery Structural Adhesive)
유니테크의 구조용 접착제는 내구성과 강성이 뛰어나 배터리 모듈의 제작 용이성을 높여줌
- 제품 특징
- 저온 및 고온 환경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용 접착제의 역할을 배터리 시스템에서도 그대로 구현
- 고객 공정 요구에 맞춰 1~2액형 솔루션 및 특수한 기능이 부가된 제품 가능
- 글로벌 Automotive OEM 승인 제품 다수 보유
- 정보 기술
-
설명운송수단 또는 배터리 시스템 구조 부품에 적용하여 비상 상황 시 충격을 흡수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구조용 접착제
-
용도자동차 배터리 팩의 구조 부품, 이종 재질 간 접착 또는 용접 대체
-
적용 부위배터리 팩 구조 및 Tray 등의 충격 흡수 구조 부품 등
-
주요 물성전단강도, 충격강도, Modulus, 내피로 강도 등
-
특징Epoxy, Polyurethane, 1~2액형, 열경화 또는 상온 경화타입
-
브랜드UniCore®
-
하우징 실란트/밀봉재 (Battery Housing Sealant)
수분, 먼지, 이물질 등으로부터 배터리팩 하우징을 효과적으로 밀봉하는 제품으로, 고객의 설계 요구에 따라 우레탄, 실리콘, 고무, PVC, Epoxy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최고 성능을 구현.
- 제품 특징
- 고객이 요구하는 강성에 부합하는 다양한 화학 재료의 적절한 선택 가능
- 자동차, 우주항공, LNG Carrier 산업에서 증명된 세계 최고 수준의 실링 성능(수밀/기밀 등)
- 다양한 피착 재료에 원활한 접착 성능 구현, 최대 30년 수준의 환경 내구성 보유
- 정보 기술
-
설명배터리팩/Housing의 밀폐를 위하여 사용되는 실란트
-
용도배터리팩이 수분 또는 이물질로부터 완벽하게 격리
-
적용 부위배터리 하우징과 덮개의 결합부 및 밀폐를 필요로 하는 설계상 부위
-
주요 물성전단강도, 신율, 비중, 기밀성, 수분흡수율 등
-
특징Polyurethane, Silicone, Rubber, PVC, Epoxy 등, 1~2액형, 상온 또는 고온 경화 타입
-
브랜드UniShield®
FAQ
고객문의 바로가기- 유니테크의 방열 접착제가 타사 제품보다 뛰어난 점은 무엇인가요?극한의 환경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때도 장기간 성능을 유지하는 최상의 내구성은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.
- 주로 어떤 기업들이 유니테크의 배터리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나요?국내외 배터리 및 시스템 시장 선도 기업 및 국내, 유럽, 미국 자동차 제조사가 제품을 공동 개발 및 사용하고 있습니다.
- 위에 제시된 제품 이외에도 개발이 가능한가요?고객의 뚜렷한 기술 목표가 있다면, 얼마든지 가능합니다.
- 유니테크가 개발한 제품을 사용 할 수 있는 국가는 어디인가요?당사 제품은 개발 초기부터 해외 사용을 가정하고 개발됩니다. 원재료 선택에서부터 미국 TSCA, 유럽 REACH 및 다양한 국가의 Chemical Inventory를 상세하게 검토하여, 제조 및 수출에 문제가 없도록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.